국민연금 추납(추후납부)은 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확실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얼마나 늘어나는지", "내 상황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명확하게 알고 계신 분은 많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추납 기간, 소득 수준, 나이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해드립니다.
1.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국민연금 수령액은 다음 2가지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 가입 기간 (납부한 총 개월 수)
- ✔ 기준소득월액 (매월 납부 기준이 된 소득)
👉 추납을 하면 이 두 가지 모두에 영향을 줍니다. 과거 미납기간을 납부함으로써 ‘가입기간이 늘어나고’, 현재 기준소득월액 기준으로 납부하므로 ‘평균소득이 높아지게 됩니다’.
2. 연 1년씩 추납할 때 수령액 증가 폭 (예시)
아래는 기준소득월액 200만 원, 만 50세 기준으로 1년~10년 추납 시 월 연금 예상 증가분입니다.
추납 연수 | 월 수령액 증가분 (예상) | 누적 연금 증가액 (80세 기준) |
---|---|---|
1년 | + 약 8,300원 | 약 300만 원 |
3년 | + 약 24,900원 | 약 900만 원 |
5년 | + 약 41,500원 | 약 1,500만 원 |
10년 | + 약 83,000원 | 약 3,000만 원 |
※ 실제 수치는 국민연금공단의 ‘예상연금 모의계산’ 기준이며, 기준소득, 납부 기간, 수령 개시 나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추납 후 수령액 증가 효과는 왜 이렇게 큰가요?
✔ 국민연금은 ‘평생 지급되는 연금’이기 때문에 월 수령액 1만 원 차이도 장기적으로는 수백만 원의 차이로 이어집니다.
✔ 추납으로 가입기간이 10년 미만 → 10년 이상이 되는 경우, → 수령자격 자체가 생기고, 최소 수급 보장
✔ 기준소득월액을 높게 설정해 추납하면, → 납입한 보험료 대비 수익률 4~6% 수준의 효과 발생
4. 추납 금액 대비 수익률은?
예: - 200만 원 기준소득으로 10년 추납 - 총 납부액 약 2,160만 원 (200만 원 × 9% × 120개월)
→ 매달 8만 원 이상 연금 증가 × 20년 수령 시 → 누적 수령액 약 3,000만 원 이상 → 수익률 약 5~6% 이상의 구조
✔ 일반 금융상품으로는 찾기 힘든 수익 구조 ✔ 장수할수록 수익률은 더 증가
5. 어떤 사람에게 가장 유리할까?
- 🔸 과거 실직, 경력단절 등으로 납부 공백이 있는 사람
- 🔸 납부 기간이 10년 미만인 사람 (수령자격 미달 상태)
- 🔸 소득이 있는 40~50대 중, 퇴직 전에 정리하고 싶은 사람
✔ 특히 50대 여성, 자영업자, 프리랜서에게는 추납이 연금 수령액을 구조적으로 높이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추납은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이지만, 그 효과는 단순한 적립이 아닌 종신연금 수익 확대입니다.
✔ 납입 금액과 예상 수령액을 비교하면 ✔ 추납은 ‘지금 당장 내 돈을 쓰는 전략’이 아니라 10년, 20년 뒤의 내 삶을 지키는 전략입니다.
Rich7win은 추납으로 가능한 수령액 증액 전략을 독자 맞춤형으로 계속 이어드립니다. 다음 글에서 더 구체적인 케이스도 함께 다뤄볼게요!